오늘은 지구와 가장 흡사하다는 화성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어떤 정보들이 지구와 비슷하게 보이는지, 어떤 점 때문에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화성의 기본정보
2021년 9월 마지막 갱신 시점에서 화성은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나와 있는 행성이며, 그 붉은빛이 도는 외관 때문에 '빨간 행성'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기와 거리: 화성의 크기는 지구의 약 절반이고 지름은 약 6,779킬로미터(4212마일)입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타원궤도를 따라 변화하는데 평균적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2억 2790만 km(1억 4160만 마일) 떨어져 있습니다.
궤도 주기와 회전: 화성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687일(지구년) 걸립니다. 그 자전 주기는 지구와 비슷하며 하루 길이는 약 24.6시간입니다.
대기:화성은 대부분 이산화탄소(약 95.3%)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량의 질소와 아르곤 및 기타 미량의 가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화성의 대기압은 지구의 약 0.6%로 생명유지장치 없이 인간의 생명을 지탱하기에는 너무 얇습니다.
표면 특징: 화성 표면은 광활한 평야, 충격 크레이터, 산, 계곡, 화산 등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이 있습니다. 그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태양계 최대 화산인 올림푸스몬스입니다. 화성에는 포보스와 데이모스라고 불리는 두 개의 작은 자연위성이 있습니다. 이 위성들은 지구의 달보다 훨씬 작아 소행성대에서 포획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화성의 물: 최근 과학자들은 과거에 화성에서 물이 흐르고 있었다는 증거를 발견하여 액체의 물이 지표에 과거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지하 얼음의 징후가 있어 소금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재발 사면 섬유'로 알려진 어두운 줄무늬 출현에 계절적 변화가 있습니다.
탐색: 화성은 전 세계 우주 기관에 의한 탐사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NASA는 이 행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피릿,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등의 여러 미션을 파견해 왔습니다.최근에는 퍼시벌런스 로버도 그렇습니다. 유럽우주기구(ESA),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인도 ISRO, 중국 CNSA 등 다른 우주기관들도 화성에 미션을 보냈습니다.
인간 탐사의 가능성: 화성은 오랫동안 인류 탐험과 식민지화의 잠재적 표적으로 과학자와 일반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습니다. 그러나 장기간의 우주 여행, 방사선 피폭, 극단적인 온도, 생명 유지 시스템의 필요성이라는 과제는 그러한 미션을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화성의 지리학적 특징
화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그 표면에 다양한 지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수십억 년에 걸쳐 지구를 형성해 온 다양한 지질학적 결과입니다.
평원 : 화성에는 광대하고 평탄한 평야가 있어 지표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습니다. 화성의 현저한 평야 중 일부는 북부 저지대와 Amazonis Planitia입니다.
화산 : 화성에는 실드 화산과 큰 화산 구조물이 모두 있습니다. 화성에서 가장 유명한 화산은 올림푸스몬스로 태양계 최대의 화산으로 높이는 약 25킬로미터입니다. 발레즈 마리넬리스(Valles Marineris)는 화성에 있는 광활한 협곡 시스템으로 길이는 4,000km(2,500마일)가 넘고 깊이는 최대 7km(4.3마일)에 이릅니다. 그것은 태양계에서 가장 길고 깊은 협곡입니다. 다른 천체와 마찬가지로 화성도 다수의 충돌 분화구의 흉터를 안고 있습니다. 이 크레이터들 중 일부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지만, 다른 것들은 다른 지질학적 과정에 의해 침식되거나 덮여 있습니다.
북극의 빙관: 화성에는 주로 수빙으로 구성된 영구적인 빙관이 있습니다. 지구의 더 추운 계절에는 이들 빙관이 팽창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일부가 응축되어 동결되어 계절적인 빈관을 형성합니다.
능선과 능선: 화성에서는 구조 활동 및 기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능선과 절벽을 찾을 수 있습니다.
건조한 강바닥과 수로: 고대의 강 계곡과 수로의 증거는 과거 화성 표면에 액체 물이 흘렀음을 시사합니다. 가장 중요한 예 중 몇 가지는 아레스 발리스나 발레스 마리넬리스와 같은 유출 경로입니다.
사구 : 화성에는 광대한 모래언덕이 있어 종종 평탄하고 저지대나 극지 주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 사구들은 주로 현무암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카오스 지형: 카오스 지형이란 화성 표면이 혼돈스러운 것처럼 보이는 지역으로 지형이 흐트러져 혼란스럽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지하 동굴의 붕괴나 지하수 방출 등의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잔산 : 이것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되어 원래 구조물의 잔해를 남기고 있는 산입니다. 그것들은 지구상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화성 표면의 특징은 다양한 우주 미션에 의한 연구와 탐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화성에 관한 지식이 진화하면서 지구 지리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더 깊은 이해가 끊임없이 출현하고 있습니다.
화성의 생명탐구
화성에서의 생명 탐색은 오랜 세월에 걸쳐 우주 탐사의 중심적인 초점이 되어 왔습니다. 레드플래닛에서 과거 또는 현재 생명의 증거를 찾을 가능성이 과학자와 일반 대중을 매료시켰습니다.
초기 추측: 화성에서의 생명 가능성에 대한 추측은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초기 천문학자들은 계절의 변화나 '운하'로 여겨졌던 것과 같은 특징을 관찰했습니다. 이러한 관측에 의해 화성은 문명이 발달한 세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바이킹 미션: 화성에서 생명을 찾기 위한 가장 중요한 노력은 1970년대 NASA의 바이킹 미션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바이킹 착륙선은 화성 토양에서 생물학적 활동 징후를 검출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러나 그 결과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화성의 생명에 관한 질문에는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화성의 물: 오랜 세월 동안 우주선 관측과 착륙 임무는 과거 화성에 액체 물이 존재했다는 증거를 제공해 왔습니다. 물의 존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에 중요한 요소이며, 그 발견은 미생물 생명의 증거나 과거 생명의 징후를 찾아내는 낙관적인 시각을 높이고 있습니다. Curiosity
Rover: NASA의 화성 과학 연구소 미션의 일부인 큐리오시티 로버는 2011년 발사되어 2012년 화성에 착륙했습니다. 화성의 환경과 지질을 연구하기 위한 고도의 과학 기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생명을 찾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은 아니지만 큐리오시티의 발견은 지구의 잠재적 거주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메탄 검출: 큐리오시티와 ESA의 마스 익스프레스 등 다양한 미션에 의해 수행된 흥미로운 발견 중 하나는 화성 대기 중에서 메탄이 정기적으로 검출된다는 것입니다. 지구에서 메탄은 생물학적 및 지질학적 과정 모두에 의해 생성됩니다. 화성에 메탄이 존재함에 따라 미생물이 잠재적 자원으로 존재할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2021년 2월 화성에 착륙한 NASA의 Perceivity Rover는 과거 생명의 흔적을 찾는 가장 최근이고 선진적인 미션입니다. 화성 환경 역학 분석기(MEDA)와 시료 캐싱 시스템 등 정교한 기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향후 지구 귀환을 위해 암석과 토양 시료를 수집, 보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ESA와의 협력에 의해 화성 샘플을 지구로 가져와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한 노력인 '화성 샘플 리턴' 미션으로의 길도 열게 됩니다.
지하 탐험: 화성 표면은 가혹하고 쾌적하지 않지만 과거 생명의 징후를 보존하기 위해 조건이 더 유리한 지하 환경을 탐색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래의 미션은 생물학적 특징이나 잠재적 서식지를 찾기 위해 지표 아래를 굴착하는 것입니다. 화성에서의 생명 탐색은 복잡하고 지속적인 시도임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성이 과거에 거주 가능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지만 2021년 9월 마지막 갱신 시점에서는 과거 또는 현재 생명에 관한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화성으로의 과학 미션은 계속 진화하고 미래의 발견은 이 매혹적인 질문에 더욱 빛을 발할지도 모릅니다.
'과학에 대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성에 대한 기본정보, 환경, 토성의 반지 (0) | 2023.08.01 |
---|---|
목성의 기본정보, 기상 현상, 대기와 기후 (0) | 2023.07.28 |
지구의 기본 정보와 기후,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7.24 |
금성의 기본정보, 지리학적 특징, 대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20 |
수성의 기본정보와 탐사,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7.18 |